본문내용 바로가기

행정자료실은 여러분을 위한 공간입니다.

소장자료검색

  • 책 소개 이미지
  • 남한산성

    • 저자 : 김훈
    • 발행처 : 학고재
    • 발행년도 :
    • 청구기호 :
  • 책소개

     죽어서 살 것인가, 살아서 죽을 것인가.



    1636년 음력 12, 청의 대군은 압록강을 건너 눈보라를 몰고 서울로 진격해 왔다. 병자호란이었다. 정묘호란을 겪은 지 불과 9년 만이었다. 방비를 갖추지 못한 채 척화를 내세우던 조선 조정은 정묘호란 때처럼 다시 강화도로 파천하려 했으나, 길이 끊겨 남한산성으로 들 수밖에 없었다.

    작가 김훈의 장편남한산성16361214일부터 1637130일까지 47일 동안 고립무원의 성에서 벌어진 말과 말의 싸움, 삶과 죽음의 등치에 관한 참담하고 고통스러운 낱낱의 기록이다.

     쓰러진 왕조의 들판에도 대의는 꽃처럼 피어날 것이라며 결사항쟁을 고집한 척화파 김상헌, 역적이라는 말을 들을지언정 삶의 영원성은 치욕을 덮어서 위로해줄 것이라는 주화파 최명길, 그 둘 사이에서 번민을 거듭하며 결단을 미루는 임금 인조. 그리고 전시총사령관인 영의정 김류의 복심을 숨긴 좌고우면, 산성의 방어를 책임진 수어사 이시백의수성(守城)이 곧 출성(出城’)이라는 헌걸찬 기상은 남한산성의 아수라를 한층 비극적으로 형상화한다.

     역사에 오르지 않은 등장인물은 더욱 흥미롭다. 보기 드문 리얼리스트인 대장장이 서날쇠, 김상헌의 칼에 쓰러진 송파나루의 뱃사공, 적진을 뚫고 안개처럼 산성에 스며든 어린 계집 나루 등은 소설남한산성의 상징을 돌아보는 존재들이다. 그리하여 병자년 겨울과 이듬해 봄, 조선 사직 앞에 갈 수 없는 길과 가야할 길이 포개진다.


     


     작가는 치욕을 기억하라고 말한다.


    삶은 치욕을 견디는 나날이라고 말한다. ‘살아남기 위해 불가피하게 더럽혀지는 인간들이 아름답다고 말한다. 역사가 삶과 죽음의 기록이라고 할 때, 치욕의 역사는 살아 낸 삶의 이력이다. 이 치욕이 단지 과거완료형이 아니라 현재진행형, 미래형이 될 수 있음을 작가 김훈은 에둘러 말하려는 것이 아닐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