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바로가기
검색하기
검색
HOME
로그인
사이트맵
대전광역시청
검색하기
시민안전종합보험
2021년 시민안전보험
시민안전보험 소개
시민안전보험 Q&A
시민안전보험 용어해설
지난연도 사고 보험청구 안내
재난관리
본부소개
조직 및 기능별임무
조직도
실무반별 주요임무
근무체계
연락체계도
상황게시판
공지사항
상황속보
실시간정보
기상정보
태풍정보
강우정보
안전문화운동
안전관리헌장
안전문화운동
안전점검의날
시민안전교육
심벌마크
안전모니터봉사단
포토갤러리
홍보동영상
재난예방 포스터
원자력안전
방사선 기초지식
방사능방재
원자력안전법령
대전 원자력안전 조례
국가 원자력안전 법령
방사능감시정보
대전시 원자력시설 현황
생활주변방사선 정보
민생사법경찰
기능 및 임무
활동실적
자료실
시민행동요령
자연재난행동요령
사회재난행동요령
임시주거시설
지진 대피장소
무더위쉼터
비상시 국민행동요령
안전.재난 자료실
관련법규
전체메뉴 열기
우리 가족이 안전한 대전! 행복하고 안전한 대전을 만들겠습니다.
자료실
Safe Reference Room
시민행동요령
자연재난행동요령
사회재난행동요령
임시주거시설
지진 대피장소
무더위쉼터
비상시 국민행동요령
안전.재난 자료실
관련법규
인명∙시설 피해 시 행동요령
Home
자료실
시민행동요령
비상시 국민행동요령
스크랩
인쇄
Twitter
Facebook
비상사태 발생 시 행동요령
인명∙시설 피해 시 행동요령
적 화생방 공격 시 행동요령
비상대비물자 및 사용요령
대형건물 파괴 및 화재시 행동요령
침착하고신속하게 현장에서 대피합니다.
① 비상구 확인 : 가장 가까운 비상구(EXIT)-찾아 질서있게 이동
② 비상계단을 이용 대피 : 엘리베이터를 타는 것은 매우 위험
③ 안전사고 위험 유의 : 벽돌, 유리 등 건축물 파편물 주의
④ 건물 밖으로 대피 : 건물 붕괴를 대비해 건물 높이 2배 이상 거리로 대피
엘리베이터를 이용한 대피의 문제점
일정 시간 엘리베이터 문 앞에서 기다려야 할 경우 화재, 연기에 노출될 우려
엘리베이터가 화재층에 자동으로 멈춰서 문이 열리면 화재와 연기에 노출
많은 사람들이 엘리베이터에 몰리는 경우 정상 운행이 불가능
사고로 인한 정전으로 엘리베이터가 정지되어 탑승객이 갇히게 되는 결과를 초래
소화전 호스나 스프링쿨러의 물이 엘리베이터의 전원이나 배선을 합선시켜 고장 유발
화재가 발생하면
입과 코를 막고 기거나 낮은 자세로 대피합니다.
출입문 손잡이가 뜨거우면 문 밖에 화재가 진행 중이므로 다른 통로로 대피합니다.
옷에 불이 붙으면 두 손으로 눈과 입을 가리고 바닥에 뒹굴어 불을 꺼야 합니다.
건물 잔해에 갇히면 침착하게 대응합니다.
무리하게 빠져나오려 하지 말고,가급적 편안한 자세를 유지합니다.
손전등,불빛을 비추거나 파이프 등을 두드려 구조 요청을 합니다.
누출가스로 인한 폭발 위험이 있으므로 성냥,라이터 등을 사용해서는 안됩니다.
가급적 휴대폰,무전기 등의 발신음을 주기적으로 보내야 합니다.
단전·단수·가스 공급 중단시 행동요령
단전시 행동요령
각 가정 에서는 휴대용 전등 또는 양초, 라이터 또는 성냥, 건전지 등을 미리 준비해 두고 불필요한 전력 소비를 자제해야 합니다.
비상자가발전기는 평시에 정기점검을 하고, 연료를 가득 채워 항상 가동이 가능하도록 만반의 준비를 해 두어야 합니다.
단수시 행동요령
각 가정에서는 물탱크, 욕조, 양동이 등에 물을 충분히 담아 두고 최대한 아껴써야 합니다.
가스공급 중단시 행동요령
평소에 각 가정에서는 휴대용 가스렌지와 부탄캔(15개)등을 미리 준비해 두고 비상시에는 최대한 아껴써야 합니다.
인명구조와 시설피해 응급복구요령
인명피해가 발생하면
각 가정과 직장에 있는 구조장비와 구급약을 활용하여 인명구조 활동을 도와야 합니다.
부상자, 노약자 등 부상이나 위험 정도에 따라 우선순위를 정하여 침착하게 구조합니다.
대량으로 인명피해가 발생하면 자발적으로 헌혈에 동참 합니다.
화생방 공격으로 오염된 환자는
- 전문가의 지시에 따라 오염지역 밖으로 신속히 옮긴 후
- 옷을 벗기고 오염된 피부를 비눗물로 씻어준 후 호흡이 편하도록 해 주어야 합니다.
시설피해가 발생하면
피해 현장에 차량과 주민의 접근을 통제하고 불에 타거나 폭발하기 쉬운 위험물 등을 우선 제거합니다.
불발탄, 폭발물 제거 등 특수기술이나 장비가 필요한 경우에는 군부대 등 관계기관에 신고 하여 조치
각자 가지고 있는 소화기기나 물자를 활용하여 응급복구 작업을 서둘러 피해를 최소한으로 줄여야 합니다.
화생방 공격으로 오염된 시설과 장비는 비눗물이나 세제를 활용하여 깨끗이 씻어야 합니다.
담당부서 :
비상대비과
담당자 :
이슬기
문의전화 :
042-270-498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