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 대전의 지속가능한 미래를 위한 청소년 정책 제안
- 작성자
- 작성일 2025-07-14
- 조회수 29
안녕하세요.
저희는 대전도안고등학교의 독서 및 자유 주제 탐구 동아리 소속 학생들입니다.
대전의 지역적 특성과 문화적 정체성을 유지하고, 더 나아가 도시 전체의 균형 있는 발전을 도모하기 위해, 저희 동아리원들은 다양한 시각에서 지역 문제를 고민하고 이에 대한 정책을 토의해보았습니다.
토의 결과, 아래의 4가지 정책을 제안드립니다.
① 구별 특색을 살린 지역 맞춤형 홍보 콘텐츠 제작
유성구, 동구, 서구, 중구 등 대전의 각 구가 지닌 역사·문화·산업적 특성을 반영하여 구 단위로 지역을 대표하는 홍보 콘텐츠(예: 카드뉴스, 짧은 영상, SNS 시리즈 등)를 제작하고, 청소년 및 지역 주민이 직접 제작에 참여할 수 있도록 장려함으로써 지역에 대한 애착과 관심을 유도할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② 공공시설 유휴 공간을 활용한 심리 체험 콘텐츠 도입
‘마음 산책’, ‘감정 일기’, ‘예술치료 공방’ 등의 심리 치유 체험 프로그램을 도서관, 청소년센터, 문화센터 등 유휴 공간에 도입하여 심리적 소외를 겪는 시민과 청소년에게 열린 회복 공간을 마련해주기를 제안드립니다. 특히 팬데믹 이후 심리 건강에 대한 사회적 관심이 커진 만큼, 공동체 중심의 정서적 치유 공간 조성이 필요하다고 판단했습니다.
③ 폐자원 공모전 및 전시를 통한 업사이클링 장려
폐의류, 플라스틱 등의 생활 폐기물을 활용한 업사이클링 아이디어 공모전과 결과물을 지역 내 전시회로 연계하여, 자원 순환과 창의성, 친환경 문화를 동시에 장려하고자 합니다. 청소년 및 지역 시민의 참여를 유도할 수 있는 ‘생활 속 예술 실천’으로 자리매김할 수 있을 것입니다.
④ 공익 광고를 통한 지역 알리기 캠페인
대전의 풍경과 시설들을 중심으로 한 공익 영상 또는 이미지 광고 콘텐츠를 제작하여 SNS, 지하철 광고, 시청 내 전광판 등에 배포함으로써 대전만의 이미지와 매력을 시민과 외부에 효과적으로 알릴 수 있는 홍보 전략이 될 수 있습니다.
저희는 위의 제안들이 지속 가능하며 시민 참여 중심의 도시 발전 모델이 될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청소년의 시선에서 제안하는 정책이지만, 현장의 경험과 공동체 회복에 대한 진지한 고민이 담겨 있음을 전해드립니다.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저희는 대전도안고등학교의 독서 및 자유 주제 탐구 동아리 소속 학생들입니다.
대전의 지역적 특성과 문화적 정체성을 유지하고, 더 나아가 도시 전체의 균형 있는 발전을 도모하기 위해, 저희 동아리원들은 다양한 시각에서 지역 문제를 고민하고 이에 대한 정책을 토의해보았습니다.
토의 결과, 아래의 4가지 정책을 제안드립니다.
① 구별 특색을 살린 지역 맞춤형 홍보 콘텐츠 제작
유성구, 동구, 서구, 중구 등 대전의 각 구가 지닌 역사·문화·산업적 특성을 반영하여 구 단위로 지역을 대표하는 홍보 콘텐츠(예: 카드뉴스, 짧은 영상, SNS 시리즈 등)를 제작하고, 청소년 및 지역 주민이 직접 제작에 참여할 수 있도록 장려함으로써 지역에 대한 애착과 관심을 유도할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② 공공시설 유휴 공간을 활용한 심리 체험 콘텐츠 도입
‘마음 산책’, ‘감정 일기’, ‘예술치료 공방’ 등의 심리 치유 체험 프로그램을 도서관, 청소년센터, 문화센터 등 유휴 공간에 도입하여 심리적 소외를 겪는 시민과 청소년에게 열린 회복 공간을 마련해주기를 제안드립니다. 특히 팬데믹 이후 심리 건강에 대한 사회적 관심이 커진 만큼, 공동체 중심의 정서적 치유 공간 조성이 필요하다고 판단했습니다.
③ 폐자원 공모전 및 전시를 통한 업사이클링 장려
폐의류, 플라스틱 등의 생활 폐기물을 활용한 업사이클링 아이디어 공모전과 결과물을 지역 내 전시회로 연계하여, 자원 순환과 창의성, 친환경 문화를 동시에 장려하고자 합니다. 청소년 및 지역 시민의 참여를 유도할 수 있는 ‘생활 속 예술 실천’으로 자리매김할 수 있을 것입니다.
④ 공익 광고를 통한 지역 알리기 캠페인
대전의 풍경과 시설들을 중심으로 한 공익 영상 또는 이미지 광고 콘텐츠를 제작하여 SNS, 지하철 광고, 시청 내 전광판 등에 배포함으로써 대전만의 이미지와 매력을 시민과 외부에 효과적으로 알릴 수 있는 홍보 전략이 될 수 있습니다.
저희는 위의 제안들이 지속 가능하며 시민 참여 중심의 도시 발전 모델이 될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청소년의 시선에서 제안하는 정책이지만, 현장의 경험과 공동체 회복에 대한 진지한 고민이 담겨 있음을 전해드립니다.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 이전글 대전0시축제 민수현 가수님
- 다음글 진드기없는우리닭,